1. 프로젝트 배경
문제 인식: 사용자 피드백과 개선 필요성
모니터링을 진행하며 우리 팀은 최근 서비스 내에서 질문 커스텀 기능의 사용자 클릭률이 저조하다는 문제를 발견했습니다.
특히, 유저 테스트를 통해 이 기능을 잘 모르거나 사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사용자가 많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피드백을 바탕으로 사용자 경험을 최적화할 필요성을 느꼈고, 이를 통해 기능 사용률을 높이기로 했습니다.
목표 설정: UX 최적화와 사용자 경험 향상
프로젝트의 목표는 단순한 기능 추가가 아닌,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해당 기능을 발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UX를 개선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여러 차례의 A/B 테스트와 사용자 피드백 수집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지속적으로 향상하기로 했습니다.
2. 사용자 피드백 수집 과정
테스트 방법: 방끗을 위한 테스터 30명 선정 및 피드백 수집
우리는 총 30명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유저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이미 기존에 서비스를 사용해 본 사용자와 처음 접하는 사용자를 포함한 다양한 그룹으로 구성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서비스의 주요 플로우를 따르며 의도한 대로 기능을 이용하는지 확인했고, 사용 도중 발생한 불편 사항과 혼란스러웠던 부분에 대한 피드백을 수집했습니다.
유저 테스트 플로우 확인
사용자들은 우리가 의도한 플로우를 따라 커스텀 질문 페이지까지 도달하는 과정을 보여주었고, 그 과정에서 발견된 주요 문제점을 토대로 UI/UX 개선 방향을 구체화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의미있게 수집된 피드백은 사용자가 버튼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특정 워딩이 직관적이지 않다는 의견이었습니다.
3. 피드백을 반영한 수정 작업
문제점 1: 커스텀 질문 페이지 버튼을 인지하지 못함
사용자들은 커스텀 질문 페이지의 버튼이 눈에 띄지 않아 쉽게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를 겪었습니다.
배너와 비슷한 디자인을 가졌다 보니 사용자들은 이것이 클릭될 버튼이라고 인지하지 못하는 편이 많았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배너의 디자인을 수정하고, 더 명확한 시각적 강조 요소를 추가했습니다.
문제점 2: 작성하기 워딩이 직관적이지 않음
새 체크리스트를 작성하는 버튼의 워딩이 작성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사용자들은 이 문구가 너무 모호하다는 의견을 줬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는 버튼 텍스트를 보다 직관적인 방 체크하기로 수정하였습니다.
문제점 3: 체크리스트 커스텀 페이지와 작성 페이지 혼동
사용자들은 커스텀 질문 페이지와 작성 페이지를 혼동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내부 레이아웃이 비슷한 컴포넌트 레이아웃을 사용하고 있다 보니 그 둘을 헷갈려하는 사용자가 많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질문 선택 버튼을 체크 표시에서 +/- 기호로 변경하여 질문 추가/삭제의 기능을 명확하게 하고, 두 페이지 간의 차별성을 강조하려고 노력했습니다.
4. A/B 테스트 진행
테스트 설계 및 변수 설정
이번 A/B 테스트는 UX 라이팅, 레이아웃, 기능성을 주요 변수로 설정하여 진행했습니다. 짧은 프로젝트 기간과 테스터 모집의 어려움 때문에 두 가지 버전을 동시에 나누어 진행하지는 못했고, 대신 기존 페이지와 수정된 페이지를 각각 사용해 본 후 피드백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습니다.
A/B 테스트 과정 및 분석
사용자들에게 기존 페이지와 새롭게 수정된 페이지를 랜덤한 순서로 보여주며, 각 UI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페이지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였고, 수정된 페이지가 더 직관적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플로우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5. 결과 및 성과
UX 라이팅 수정 후 성과
수정된 UX 라이팅과 레이아웃 덕분에 커스텀 질문 페이지의 클릭 수가 250% 증가했습니다. 기존에 버튼이라고 인지하지 못해 클릭하지 않았던 사용자들이 디자인 및 텍스트 개선 이후로는 페이지를 더 자주 탐색하게 되었습니다.
사용자 만족도 향상
수정 작업 이후 사용자의 피드백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했습니다. 인터페이스가 더 명확해졌다는 의견이 다수였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플로우로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면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6. 향후 계획
이번 개선 작업을 통해 사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UX를 최적화하는 작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앞으로도 방끗은 지속적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고, A/B 테스트를 활용해 기능을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더 다양한 사용자 피드백을 반영하여 서비스의 모든 부분에서 최적의 UX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혹시 서비스가 궁금하시다면..~!!
방끗 - 방 구하기 끝 그래서 방끗!
자취 초보를 위한 방 보러 다닐 때 꼭 필요한 체크리스트! 내 방 찾기, 이제 걱정 없이 준비하세요.
bang-ggood.com
'우테코'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코드잽 프로젝트를 모노레포로 마이그레이션하는 이유와 계획 (0) | 2024.12.18 |
---|---|
[우테코 6기] 불필요하게 리랜더링 되는 문제 해결하기 (0) | 2024.12.02 |
[우테코 6기] 모든 팀의 AWS S3 프로젝트 폴더를 날렸다고..? (0) | 2024.10.02 |
[우테코 6기] 개발자가 현장 유저 테스트에서 깨달은 것: 불편함을 개선하다 (2) | 2024.10.02 |
[우테코 6기] 지치지 않고 협업하는 법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