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팀 프로젝트 Badger 회고
·
개발자의 성장 도파민 기록
최근 교환학생으로 참여한 팀 프로젝트에 대해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셔서, 회고록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그동안 일상 블로그에서 자잘하게 언급했던 팀 프로젝트 내용을 하나의 글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제가 미국 교환학생으로 참여한 팀 프로젝트는 Senior Design으로, 한국의 졸업 캡스톤과 유사한 과정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캡스톤이 대부분 같은 과 학생들과 함께 진행하는 반면, 이 학교의 시니어 디자인은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모여 팀을 구성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저 역시 기계공학, 토목공학, 컴퓨터공학, 전자공학 등 여러 전공의 친구들과 팀을 이루었습니다. 이 팀 프로젝트에 합류하게 된 계기는 학기 초 교수님과의 미팅에서 저의 꿈에 대해 이야기했을 때였습니다. 당시 2학년 때 친구들과 함께 진..
유연성 강화하기 - 부끄러움에 '도전하기'를 도전하는 나
·
개발자의 성장 도파민 기록
나란 사람은?나는 혼자서 모든 걸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다.좋게 말하면 본인 일에 책임감이 강하다.나쁘게 말하면 스트레스를 받아도 주변에 이야기하지 않는다.어떤 문제는 주변 사람들과 이야기하면 더 쉽게 해결될 수도 있다.  해결은 안 되더라도 도움을 얻을 수 있다. 혹은 위로라도.누군가는 자신의 고민을 방송에 나와서 수만 명에게 공유하기도 한다.  아니면 가까운 이에게 넌지시 이야기해 볼 수도 있다.하지만 난 그 쉬운 걸 못 한다.왜 고민을 사람에게 잘 공유하지 못할까?  아무래도 초라한 모습이나 부끄러운 모습을 보여주기 싫은 거 같다.  그걸 약점이라고 생각하는 거 같다.  우테코에서의 나는? 새로운 환경이라고 해도 사람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오히려 본인이 원래 어떤 사람이었는지 더 잘 보여준..
[육목 알고리즘] 그 개발의 시작
·
개발자의 성장 도파민 기록
문제 해결 스튜디오라는 우리의 수업에서 이젠 결국 육목 게임 알고리즘까지 구현하기 과제가 나와버렸다..  육목이란?  육목은 오목과 달리 6개의 돌을 정렬해야 우승하는 게임으로, 수를 둘 때도 하나씩만 두는 오목과 달리 2개씩 둘 수 있다.또한 이러한 육목은 게임 순서에 따라 후공이 불리한 오목과 달리 턴을 마친 사람의 돌이 상대방보다 늘 1개씩 더 많기 때문에 어느 한쪽이 유리하지 않는다고 한다.    룰 판은 19x19인 바둑판에서 진행되며,규칙은 매우 간단한데, 흑이 선공으로 돌 하나를 두고 다음 턴부터는 모두 두 개씩 두다가 먼저 육목을 만드는 사람이 이기는 거다.쉬운 요약:흑돌이 먼저 한 개 둠백돌이 두 개 둠흑돌이 두 개 둠(이후 2번으로 돌아가 백돌이 두 개, 흑돌 두 개씩 무한반복)… (누..
2023 ICPC 예선 후기
·
개발자의 성장 도파민 기록
2023 ICPC Seoul Preliminary 예선 후기 이번에 ICPC 출전이 처음이라 긴장이 꽤 되었다. 그래도 최근에 코딩 테스트를 조금 준비하긴 하였으나, 실전 코딩 테스트는 꽤 오랜만이고 이런 PC 한 대로 진행하는 팀전은 처음이라 좀 떨렸던 거 같다. 2시 시작이라 1시 30분 이후에부터 모여서 모니터 세팅하고 키보드랑 마우스 세팅을 하고 시작했다.시작과 동시에 한국어로 번역해서 준 문제 C, D, G (아마 그랬던거 같은 게 가물가물하다)를 팀원 한 명씩 붙어서 읽고 파악하기 시작했다.문제 C가 생각보다 쉬운 문제라 빠르게 접근해서 4:20분 정도에 제출했던거 같다. 이때까지만 해도,,, 나름대로 난이도 괜찮은데,,,?라고 생각했던,, 이후에 나와 팀원 한명이 K를, 한 명은 D 알고리즘..